건강사전

급체 내리는 법

보드바이저 2023. 2. 2.
반응형

급체란?

급체는 식후에 발생하는 소화 장애의 총칭입니다.

특히 위장 및 간담도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원인의 증상을 말합니다.

속 쓰림, 트림, 메스꺼움, 상복부 불쾌감, 더부룩함 등의 소화기 증상 외에 복통에 수반되는 모든 증상이 급체입니다.

 

 

급체 내리는 법

1. 한방요법

 

1-1. 중완혈

급체는 소화 불량으로 인해 음식이 위장관에 너무 오래 머무르는 경우입니다.

이로 인해 위장관을 구성하는 근육(평활근)이 긴장되고 수축됩니다.

이때 급체 내리는 법은 가운데 팔이 배와 배꼽 사이를 가볍게 눌렀을 때 붓거나 통증이 느껴진다면 급체입니다.

반대로 음식이 소화가 잘되면 가운데 팔을 눌러도 아프지 않습니다.

이 배꼽사이를 중완혈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을 살살 마사지해 주면 급체가 내려갑니다.

 

 

1-2. 합곡혈

몸이 좋지 않을 때 특정 합곡혈을 누르면 증상이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위치는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입니다.

급체, 두통, 열이 있을 때 누르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경혈이며 숨을 6번 내쉬고 누르면 관절 통증을 느낄 정도입니다.

1-3. 내관혈

손목 안쪽 중앙에서 5cm 지점에 위치한 내관혈을 손바닥으로 꾹 눌러주는 것이 급체 내리는 법에 도움이 됩니다.

이는 구토나 메스꺼움, 소화 불량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1-4. 곡지혈

팔을 구부렸을 때 팔꿈치 주름에서 바깥쪽으로 끝나는 지혈에 압력을 가해도 급체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1-5. 족삼리

족삼리혈은 정강이뼈 위쪽에 위치하여 속 쓰림과 급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1-6. 간수혈

등 쪽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경혈이 있습니다.

이중 한 곳을 꾹 압력을 주거나 하면 급체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지점은 위장에서 척추 반대쪽 등 쪽 가운데에 위치해 있습니다.

 

 

2. 찬음식을 먹지 않는다

몸이 좋지 않을 때는 냉수욕을 하거나 날것이나 차가운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급체는 위장관 근육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찬음식을 먹게 되면 운동능력에 크게 방해가 되어 급체 내리는 법이 아닌 오히려 악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또한 위장을 따뜻하게 하면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비스듬히 눕는 것이 도움 된다

팔다리를 따뜻하게 하고 몸의 오른쪽이 바닥을 향하도록 누운 자세를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식을 먹어 속이 울렁거릴 때는 금식을 해야 하며 속이 더부룩할 때는 소식하고 배가 아프면 급체 내리는 법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매실차를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매실은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고 위장관의 움직임을 도와 위를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급체 증상

급성 증상은 소화 시스템이 약한 사람이나 여성에게 특히 흔하며 과식과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입니다.

기름진 음식이나 음식을 너무 빨리 먹으면 급체가 발생하기 쉽고 많이 먹지 않아도 정신적 스트레스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급체 내리는 법은 기름지고 느끼한 음식을 적게 먹어야 합니다.

갑작스러운 급체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복통, 설사 등이 있습니다.

추가로 메스꺼움, 속 쓰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두통을 동반한 창백한 안색, 위가 차갑거나 손발이 차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댓글